2020년 3월 7일 토요일

사막 메뚜기 (ft. 중국까지 올까?)

작년인가요? 2019년 8월 미국사막지역인 네바다주의 라스베가스쪽에서 메뚜기떼가 발생했는데요. 최근 동아프리카쪽에서 메뚜기떼가 발생했죠. 그런데, 이 것이 경제, 특히 중국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좀 높아보이네요.


위 사진은 라스베가스의 한 쇼핑몰 앞의 모습인데요. 가로등에 반응해서 몰려드는 메뚜기 들입니다. 출처:https://www.nytimes.com/2019/07/27/us/grasshoppers-vegas.html


http://www.forestry.gov.cn/main/72/20200302/103847100186477.html


이번주 월요일(3월 2일), 중국농림부(?)에서 위와 같이 각 지역 정부당국들에게 사막 메뚜기 관련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에 대해서 생각할 것을 주문하는 문서를 발행했습니다 (한국어 번역보다 영어번역이 많이 매끄럽네요). 대응책으로는 살충체, 관련장비, 비상자금, 인력 을 준비하라는 것이죠. 중국으로는 거의 오지는 않는데, 만약 넘어올시에는 중국의 농산물들의 피해가 클 수도 있다는 것이죠. 그러니, 지금부터 대응대책을 준비하자 라고 말이죠. 지금에서는 사태관찰단계라고 보면 될 듯하네요. 

올해만 이 아이들이 생긴건 아니고요. 매년 태어나는 아이들이지만, 올해 아이들은 최근 수십년간 중 최고의 개체수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그냥 휩쓸고 지나가면 흙만 남는다고 보면 되요. 

보통 동아프리카~남아시아인 인도 요렇게 발생해요. 아직은 중국의 위협은 아니라고 보여지는데, 이런 자연재해는 어떻게 발전될지 우리는 전혀 알 수 없죠. 이미 2월 24일 주에 관련 전문가들은 파키스탄과 인도의 피해가 클 것이라고 예측을 하고 있어요. 그리고, 메뚜기들에게 좋은 기후(땃땃한 온도와 가뭄)로 인해서 6~7월 쯤 중국의 티벳, 신장, 윈난 지역에 퍼질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온난화가 진행이 안된다는 미국의 대통령의 생각과 좀 반대되는 현상들이 많이 나타나고 있는 상황이긴 하네요.
왼쪽부터 순서대로 신장, 티벳, 윈난 지역입니다. 


중국에서는 이 아이들이 아에 없던 건 아니고요. 중국 서쪽 지역에서는 산발적으로 조금씩 발생했던 메뚜기들이지만, 지금의 메뚜기들처럼 큰 규모는 아직 발생하지 않았죠. 따라서, 메뚜기떼에게 아주 큰 피해를 받은 적은 없었어요. 아래의 UN식량농업기구가 지금 상황을 계속적으로 업데이트해주고 있는데요.

2월 상황
2월 상황인데요. 예맨에 있던 아이들이 이라크쪽으로 움직인것이 눈에 들어오네요. 한 곳에서 발생해서 조용히 살다가 흙으로 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대륙횡단을 하는 아이들이에요. 이동하면서 그 지나다는 길목에 있는 곡식들은 사라진다고 보면 되요.
3~6월 예상

UN식량농업기구가 피해국가들과 피해예상국가들에게 6월까지 지금보다 500배가 넘는 아이들이 나타날 것이라고 경고를 하고 있는 중이입니다. 아무래도 위의 국가들의 예방이나 관련 대책들이 미비하니 그 메뚜기 숫자가 급속도로 증가한다고 보는 것이죠. 또한, 메뚜기들에게 좋은 기후는 덤이고요. 그 숫자는 수억마리가 하루에 약 150km를 이동할 수 도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지금의 상태는 보통의 상황은 아니라고 보는 것이죠.

특히, 중국농림부도 최근 몇년간 기후 변화로 인한 가뭄으로 인해 몇 몇 종의 메뚜기들이 이미 중국의 초원지대에서 발견된다고 보고하고 있고, 그 개체수가 증가중이라고 경고를 하고 있죠. 그 결과로 매년 100,000 제곱킬로미터(km2)의 농지를 파괴하고 있습니다. 

다른 해충이긴 하지만, Amyworm이라고 거염벌레라는 나방의 애벌레가 중국의 동남부지방인 윈난지역에 2019년1월에 발견되었고, 지금은 그 지역이 더 확산되어가고 있습니다. 메뚜끼 뿐만 아니라 다른 해충들도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죠. 

이 메뚜기들이 중국으로 넘어올 수도 있는 상황이라 중국 저장성에서는 파키스탄에 10만 마리의 오리들을 지원하겠다고 했는데요. 실제로 보낼지는 두고 봐야겠죠. 파키스탄같은 건조한 사막지역에 오리들이 버틸수있을런지..... 

지금 코로나 바이러스로 중국이 회복하고 있는 중에 혹시모를 위험이 될만한 것으로 보여지네요. 아프리카도 피해를 받고 있는 것은 당연하고요. 이쪽 국가들은 특히 대응이 없어요. 그냥 당하는 거 밖에 할게 없는 상황이에요. 중국의 피해가 생긴다면,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겠죠. 

*사막 메뚜기는 우리가 알고 있는 그 초록색의 귀염둥이처럼 안생기고, 어른 손가락크기의 하루에 자기몸크기 만큼의 곡물들을 먹는 아이들이에요. 자세한 사진은 직접 찾아보세요. 블로그에 올리기에 혐오스러워 하시는 분들이 계실까봐....이 사진만....암턴 그 종류가 좀 다양하더라고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